원인 파악 쉽지 않은 '전립선염', 의료진 숙련도가 완치 열쇠
페이지 정보

본문
[직썰 / 권성진 기자] 일상생활 속에서 방광이 예민한 느낌, 배뇨 기능이 저하되는 느낌을 받는 경우,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립선염' 발병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전립선염'은 중장년층 남성의 정상적인 생활을 방해하는 악명 높은 비뇨기 질환으로 꼽힌다.
전립선염은 크게 세균성과 비세균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세균성 전립선염은 임질균, 클라미디아, 유레아플라스마, 마이코플라스마 제니탈리움, 마이코플라스마 호미니스, 트리코모나스 등이 원인 균으로 꼽힌다.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원인균을 찾을 수 없는 사례를 모두 포괄하는 유형이다. 이처럼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감염 원인을 특정할 수 없고 경로가 다양해 명확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쉽지 않다.
전립선염 발병 시 배뇨장애와 더불어 하복부 및 회음부 통증, 배뇨 통증 등을 야기한다. 직장에서 업무를 볼 때, 야외 활동을 할 때 수시로 나타나는 이상 증세 때문에 곤란을 겪기도 한다.
분명 전립선염은 치료가 쉽지 않은 비뇨기 질환 중 하나다. 그러나 꼼꼼한 검사와 적극적인 치료가 진행된다면 치유가 가능한 질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립선염이 의심된다면 소변검사, 요배양검사, 전립선액 검사, 정액검사, 전립선 특이 항원검사, Multi-PCR 등 환자 개인 별 맞춤 검사 과정을 시행하는 것이 필수다.
정밀 검사 결과 세균성 전립선염이라면 항생체 투여 등 약물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다만 비세균성 전립선염일 경우 약물요법만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에는 약물치료와 함께 전립선 마사지나 자기장 치료 그리고 전립선 내 주사 시술 등을 병행하는 치료를 해 효과를 체험한 환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이상훈 부천 제니스비뇨기과 원장은 "전립선염은 보통 요도를 통해 침투한 세균이 주 발병 원인인데 비세균성의 경우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을 뿐 대부분 잘 알려지지 않은 균 감염에 의해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며 "정밀 검사 시행 후 약물치료, 주사요법, 신경억제요법, 자기장치료 등을 시행해 근원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했다.
출처 : 직썰(https://www.ziksir.com)
- 이전글여성에 흔한 방광염, 치료 시기 놓치면 만성화 위험↑ 25.09.19
- 다음글“더 편하게, 더 오래”…‘발기부전 치료제’의 진화 [이노메디㉓] 25.09.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